너울의 창 선답자 후기에서는 이곳이 숲이 무성했던 산길이었으니 최근에 불이 났던 것으로 보입니다. ♧ 지평리로 넘어 오다! ♧ 양평군 지평면 망미리에서 낮은 산을 넘어 지평리로 넘어 왔습니다. 여섯번째 사진에 지평1리 햇골마을이 보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금번 경상북도 의성 산불처럼 바람의 영향이 없었는지 지평리... 2025-04-13 20:11:42
istamping님의 블로그 관공서가 자리잡고 있었던 곳을 말하지요. 1872년 지평현여지도를 보면 봉미산 아래쪽과 학교(鶴橋)가 놓인 하천 위쪽으로 관청의 건물들이 밀집해 있었던 사실...33-6에 관아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주민들의 제보아도 일치할 뿐더러 특히 이 일대에서는 조선후기 건물의 것으로 보이는 기와, 자기 등이 많이 발견... 2025-04-27 22:23:00
내 흔적의 갈무리 가장 높은 산이다. 『해동지도』에는 지평현의 서쪽에 백운봉이 백운암 · 미지산과 함께 표현되어 있다. 서쪽에는 함왕골, 동쪽에는 연수리계곡이 있으며 정상...있다. 구글 지도와 사진 처음 찿는 휴양림이라 기대도 되지만 야영장이 계단식으로 되어 있어 짐 운반이 만만지 않다는 후기를 읽어 보고 힘 좀 써야 할... 2025-05-04 11:11:00
어이무사의 게으른 공부방 시대 지리지인 동국여지승람과 고지도에서 양평은 나오지 않는다. 양근군(楊根郡)과 지평현(砥平縣)을 찾아야 한다. 1908년에 양근군과 지평현이 합해져 양평군이 되었다. 조선후기 지방지도에서 양근군을 찾아보았다. 지도 위쪽에 그려진 강이 북한강, 왼쪽 아래에 그려진 강이 남한강이다. 두 강이 만나는 지점에 ‘이... 2023-07-13 01:06:00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 이처럼 두 전란의 어렵고 힘든 상황 속에서 승려의 활동으로 인해 조선 후기로 가면서 불교의 위상도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도 이야기 했듯이 양평...후로 문종, 세조, 성종, 숙종에 이르기까지 원찰의 지위를 가지면서 경기도 지평현(砥平縣) 용문산에 있는 용문사는 크게 번창하였습니다. 양평 용문사와... 2024-10-30 18:30:00
승경도가 있는 서재 작은 지자체인 군(郡), 현(縣)의 면적은 오늘날 지방 시,군의 1/2에서 1/3 규모이다. ㅇ 천안군 + 목천현 + 직산현 => 천안시 ㅇ 양근군 + 지평현 => 양평군 조선후기 큰 고을인 부, 목, 도호부를 제외하고 규모가 작은 고을인 군, 현의 숫자는 대전회통을 기준으로 225개로, 이 중 군(郡)이 77개, 현령이 다스리는 큰... 2023-11-27 18:17:00
孔瑞의 窓 기록에서 “지평현의 비도 수백 명이 홍천에 접(接)을 설치하고 약탈을 자행해 감역(監役)맹영재가 포군(砲軍) 100여 명을 거느리고 무뢰배들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포군 김백선이 부상을 당했다”고 기록됐다. 실록이 ‘비도(匪徒)’로 표기한 동학군이 뜨면 관리와 백성들이 두려워 피하기만 하던 상황에서 포군 들... 2025-02-27 19:29:00
양평군의병기념사업회 을미의병 봉기 기념탑입니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으로 인해 지평현에서 전국 최초로 을미의병이 거의하였습니다. 당시 지평군수 맹영재의 방해를...다음으로 목계나루터에 있는 강배체험관에 들렀습니다. 지평의병과 후기의병들은 일본군의 병참기지가 있는 가흥창, 수안보를 공격하기 위해 목계나루로... 2024-11-14 12:11:00
km8466- 에 "양근군에 용문산이 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양근군 편에 "다른 이름은 미지산(彌智山)인데, 군 동쪽 33리 되는 곳에 있다."고, 지평현 편에 "미지산(彌智山)은 현 서쪽 20리 되는 곳에 있는데 곧 용문산(龍門山)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 양근군 편에는 "미지산(彌智山... 2024-02-11 21:13:00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https://japan114.tistory.com 있어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하기에 알맞은 지형과 지세를 갖췄다. 후기의병인 정미의병전쟁때 권득수, 조인환 의병대장 등은 용문사을 근거지 삼아...대장 유인석 등이 문하생으로 이항로의 강학실은 우국충절의 교육장이었다 지평현 여지도 (서울대 규장각소장) 지평여지도 (서울대 규장각소장) 1882년에 제작된... 2023-06-15 14:5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