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0119-3.tistory.com 조선 후기로 들어서면서 왕실의 계보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돼요. 인조반정으로 시작된 새로운 정치 질서는 왕실의 혈통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죠. 인조는...정당성을 확보했어요. 특히 효종에서 현종으로 이어지는 시기에는 '예송논쟁'이라는 대규모 논쟁이 일어났는데요. 이 논쟁의 핵심에는 왕실의 혈통과 관련... 2025-05-05 17:51:03
세이의 공부 일지 조선 후기, 붕당 정치, 선조, 이조 전랑, 동인과 서인, 정여립 모반 사건, 기축옥사, 남인과 북인, 광해군, 인조, 인조반정, 효종, 예송 논쟁, 기해예송, 갑인예송, 환국, 숙종, 경신환국, 노론과 소론, 기사환국, 희빈 장 씨, 장희빈, 갑술환국, 영조, 탕평 정치, 탕평비, 균역법, 정조, 규장각, 초계문신제, 장용영... 2025-01-14 19:47:00
라이프 해커 병자호란 17 효종 이호 1649~1659 북벌 정책 추진 18 현종 이연 1659~1674 예송 논쟁 19 숙종 이순 1674~1720 환국 정치, 당쟁 격화 20 경종 이윤 1720~1724...탕평책 실시, 조선 후기 중흥 22 정조 이산 1776~1800 규장각 설치, 화성 건설 23 순조 이공 1800~1834 세도 정치 시작 24 헌종 이환 1834~1849 세도 정치... 2025-03-24 22:27:25
알찬하루 갑인예송 1674) 효종비사망 : 남인 1년 복상주장 환국의 전개(숙종) 경신환국(1680) 허적, 윤후 등 남인축출 ->서인집권 -> 남인 처벌을 두고 노론과 소론 분화...문헌비고]편찬 정조의 개혁 정치 규장각 설치, 초계문신제 실시, 수원화성 건설,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단행,금난전권 폐지 수령의 권한 강화, 서얼과... 2025-04-11 07:19:00
행복한 50년 문명국을 건설하려 했던 명나라와 조선은 문화적, 이념적 동질성 공유 명에서 양명학이 유행하자 조선의 퇴계 이황(1502~1570) 등 주자성리학 학자들이 중화...비판 명 붕괴하자 문명의 중심에 대해 혼란 : 새로운 정체성 필요 = 예송 등장 소현 세자 : 닫히는 조선의 첫 희생양 소현세자 1612-1645 인조와 인렬왕후 한... 2025-04-23 18:20:36
일상을 단순하게 단단하게 조선 후기 정치 ▶ 광해군 ~ 인조 : 선조의 뒤를 이어 ‘광해군’이 왕위에 오름. : 광해군 재위 시기, 영창대군을 왕으로 옹립하고자 함 (왕권이 불안했음.) 대동법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 숙종 대에 이르러 전국으로 확대) : 이원익의 건의, 방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 공물을 현물로 거두지 않고... 2025-04-30 14:28:00
제뚱보 조선 후기 15. 광해군 이혼 (재위 1608~1623) 업적: 대동법 시행, 중립 외교 (명-후금 사이). 사건: 인목대비 폐모 사건, 영창대군 죽음, 인조반정으로 폐위. 16...18. 현종 이연 (재위 1659~1674) 업적: 당쟁 격화. 사건: 예송논쟁 (기해예송, 갑인예송). 19. 숙종 이순 (재위 1674~1720) 업적: 환국정치로 붕당 조절... 2025-04-10 22:16:14
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 조선 후기 매화도와 묵란도에서 고유의 화풍을 확립한 화가로 1847년 벽오시사를 결성, 후배 화가들을 이끌고 문인화단의 중심인물로 활동하였다. 추사 김정희...풍양 조씨가 서로 번갈아 가며 세도정치를 하던 시기에 활동한 조희룡은 예송논쟁에 휘말려 1851년 임자도로 유배되었다. 조희룡은 임자도 유배시설에 예술... 2024-11-16 08:51:33
5sebaschan win (예송: 자의 대비 복상 기간땜에 발생) 숙종 경신환국(1680): 서인이 !! 남인 꼰지름. --> 허적과 윤휴 등 남인을 몰아내고 서인의 정권 장악!!! 이후...완전 몰락, 서인 정권 장악!!! 수도 방어를 위해 금위영 창설 (이때 조선후기 5군영 체제 완성) 청과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 세움 --> 백두산정계비문의... 2025-01-24 01:11:00
萬綠叢中紅一點 논쟁이었다. 예송에는 차남으로 왕이 된 효종의 정통성에 관한 붕당의 입장이 반영되었다. 서인은 효종이 인조의 차남이었기 때문에 사대부의 법도에 따라 대비의 상복 기간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남인은 효종이 왕위를 계승하여 장남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왕실의 예에 따라 상복 기간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 2025-03-29 16:46:00